낼이 정월 대보름입니다. 달맞이를 기대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 가장 둥근 보름달을 볼 수 있는 시간은, 내일 (24일) 오후 9시 30분이라고 합니다.
정월 대보름 나물 다섯가지와 오곡밥, 세시풍습, 유래, 부럼 깨기에 대해서 살펴보려 합니다.
1. 정월 대보름 나물 다섯가지와 오곡밥
이날 먹어야 하는 음식으로는 귀밝이술( 귀가 밝아지고 한 해 동안 좋은 소식을 듣게 되기를 바라는 의미로 마시는 청주로 가을 추수 후 좋은 쌀을 마련해 두었다가 만들었다), 생떡국, 섬만두, 약밥, 오곡밥 등과 고사리, 버섯, 도라지 등을 나물로 먹으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고 건강하게 지낸다고 전해진다.
오곡밥
한 해 건강을 기원하는 의미의 '오곡밥'은 찹쌀, 조, 수수, 팥, 콩 등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밥으로 한 해 모든 농사가 잘 되기를 바란다는 기원을 담고 있다. 우리나라 전통 색인 오방색 '황, 청, 백, 적, 흑'을 나타내는 곡물을 먹음으로 오행 기운을 받아 건강을 기원하고 있다.
더위를 피하게 하는 나물
이날은 겨우내 말려두었던 여러 가지 묵은 나물을 먹는다. 제철에 수확해 말려둔 묵은 나물 9가지를 볶아 먹으면 더위를 피할 수 있다고 믿은 선조들은 지역별로 다르지만 고사리, 도라지, 시래기, 취나물, 호박고지, 가지고지 등을 먹는다.
2. 세시풍습
지역에 따라 달집태우기, 볏가릿대 세우기 등 한 해의 풍요를 기원하는 다양한 행사가 진행된다.
볏가릿대 세우기
짚이나 헝겊에 갖가지 곡식을 싸서 장대 높이 매달아 우물이나 마당 등에 세워놓는 풍속으로 풍년이 들어 볏가리벼를 베어서 가려 놓은 볏단을 차곡차곡 쌓은 더미를 장대 높이만큼 쌓게 해 달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달집 태우기 행사
보름달을 상징하는 달 모양의 종이나 나무로 달집을 만들어 태우는 의식으로 달집이 타는 소리와 함께 악마와 재앙을 쫓아내고 새해는 좋은 기운과 행운을 가져오라는 소망을 담긴 풍요를 바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쥐불놀이
주로 들판이나 농경지에서 쥐불을 놓아 해충의 알을 죽이고 풍작을 기원하는 민속놀이로 역시나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다.
3. 유래
신라시대 소지왕이 정월대보름 날 행차하던 중 까마귀와 쥐가 시끄럽게 울어서 신하에게 따라가라 명했지만 연못에서 까마귀를 놓쳐버린다. 잠시 후 어느 노인이 연못에서 나와 편지를 주는데 "글을 읽으면 두 사람이 죽고 읽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라고 말하고 사라진다. 소지왕은 한 사람이 죽는 것이 낫다 하여 읽지 않으려 했지만 신하가 그 한 사람이 소지왕을 뜻하는 것 같다는 말에 편지를 읽게 된다. 편지에는 사금갑(거문고를 쏘시오)라고 적혀 있어서 즉시 활을 쏘았는데 그 안에는 소지왕을 해치려는 한 왕비와 중이 숨어있었다고 한다. 그 후 정월대보름을 '오기일'이라고 하여 찰밥을 준비해서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4. 부럼깨기
부럼은 부스럼이 생기지 말라는 의미로 밤, 잣, 호두, 땅콩, 은행 등 견과류를 껍질채 먹는 데, 이를 '부럼(부스럼)을 깬다'라고 하며 치아를 튼튼하게 하고 일 년간 부스럼이 넘어가기를 기원하는 의미와 아울러 나이 수대로 깨물어 먹는다.
정월 대보름 나물 다섯 가지와 오곡밥, 세시풍습 등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내일 밝고 둥근달 아래서 소원 비시고, 행복한 날 되세요.
'함께 알아봐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램넌의 탄생배경, 주요재료, 여러 도시의 램넌 (0) | 2024.02.25 |
---|---|
단어가 갖는 명확성과 정확성, 참여와 관심,신뢰성과 전문성, 영향력 (2) | 2024.02.24 |
챗GPT로 탄원서를 쓰는 세상, 무엇이 문제인가? (0) | 2024.02.19 |
행복한 2월, 계획 잘 세우는 방법 (1) | 2024.02.18 |
2월 14일, 발렌타인데이의 정의 (0) | 2024.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