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중에 ‘대쪽 같은 사람’이란 표현이 있습니다.
올곧고, 타협보다는 자신의 소신이 뚜렷한 사람, 꺾일지언정 소신을 굽히지 않겠다는 사람을 표현할 때 쓰는 말입니다.
그럼에도, 그렇게만 살 수 없는 게 우리의 삶입니다.
많은 사람들에게 추천되며, 자기 계발 분야에서 인기 있는 책 중 하나로 < 유연함의 힘> 이란 책이 있습니다.
이 책은 인기 있는 교육 생활 작가인 미셸 루이스 아몬도가 쓴 책입니다. 이 책은 유연성이 모든 측면에서 창의성을 자극하고, 삶의 질과 일의 진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이 책은 실패와 부정적인 경험에서도 배울 수 있는 것이 많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유연함을 생각해 봤습니다.
작가는 프롤로그에서
“유연함의 기술은 당신이 일과 삶에서 더 효율적으로 살도록 안내한다.
즉, 개인에게도 효과적일 뿐 아니라 조직 구성원에게도 영향을 미치며,
누구든 더 효과적인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
라고 말합니다. 더 나은 미래를 꿈꾸며 달려가지만 나를 향해 달려오는 것들은 나를 좌절케 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 상황이 다가올 때 어떻게 하는 것이 옳은지 얘기를 해 줍니다.
성장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누구인지 더 깊이 탐구해야 한다.
또한 더 나아지기 위한 노력에 따라오는 위험을 감수해야 하고 자신이 덜 완벽하다고 생각해야 한다.
그리고 개선이 필요한 마음과 정신 영역을 인지하고 해부해야 한다.
학습 마인드셋으로 자신을 무장하면 가끔은 고통을 안겨주는 그런 도전을 더 수월하게 헤쳐 나갈 수 있다.
그는 또한 에필로그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유연성이 우리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까요?
이 부분에 대해서 생각해 보려 합니다.
1: 유연성
창의성을 자극하는 열쇠 유연함은 인간의 삶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유연함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는 것부터 실생활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것까지 가능케 합니다. 유연성은 창의성을 자극하고, 새로운 기회를 찾고, 우리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창의성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기에 상상력 있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유연성이 무엇보다 필요합니다.
2: 실패와 부정적인 경험에서 배우기
"유연함의 힘"의 핵심 메시지는 실패와 부정적인 경험에서도 배울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성공과 진전만이 배울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거듭되는 실패와 재난은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피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실패와 부정적인 경험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 많습니다. 이러한 순간을 통해 우리는 성취가 될 수 있는 비즈니스, 직장, 커뮤니티 문제를 파악합니다. 실패는 새로운 시작으로 인식하고, 발전해 나가는 경험이 되며 어쩜 자신의 자산이 되기로 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에디슨은 999번의 실패가 아닌 999번의 실패하는 새로운 방법을 배웠다고 하지 않습니까?
3: 유연함은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유연성은 삶의 많은 측면에서 우리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우리 삶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나아가고 발전해 나가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렇기 때문에 변화에 발맞출 필요가 당연히 요구되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우리는 일정한 일정에 적응하고 일이 끝난 후에는 적극적으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른 영역에서도, 우리는 협동 정신을 개발하고, 상황에 대처하고,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자주 "아찔한" 경우를 경험하고 행동해야 합니다.
또한 어려움에 빠졌을 때 포기하지 않고 더 큰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유연한 마인드셋을 가져야 합니다.
결론
세상은 계속해서 변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유연성을 발휘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은 우리의 삶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유연함의 힘"의 메시지는 우리가 실패와 부정적인 경험을 충분히 경험하고, 이로부터 배우며, 유연성을 통해 새로운 도전을 맞이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이러한 가치를 우리 자신과 우리 사회에 적용함으로써 탄력성 있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도 유연함으로 무장한 채 즐겁게 살아갈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함께 알아봐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깐 웃어봐요, 개구장이 마스코트 (0) | 2023.07.26 |
---|---|
장마철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1) | 2023.07.23 |
무기가 되는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가? (0) | 2023.07.21 |
더위에 대처하기 (0) | 2023.07.20 |
평생 함께하고 싶은 우정의 조건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