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공부!
으잉? 하면서 소개를 받은 책
그런데 책을 읽으면서 참 많이 부끄러웠다.
이 책은, 작가가 25년간 롯데마트에 근무하다가 퇴직을 하고나서, 아들에게 쓴 글을
모아서 낸 책이다.
처음 접했을 때, 자산이 50억이라는 부분에서 일단 거부감이 들었다.
뭐야, 너무 부자잖아? 나랑 너무 멀잖아?

작가는 자신이 살기 힘든 이유를 본인이 지금껏 '경제 문맹' 이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참, 할 말이 없게 만드는 부분이었다.
돈 공부라는 말도 어색했고, 생소했고...
특별히 직업에 대해 하는 부분이 무척 와닿았다.
사업가의 '가'는 그의 직업이 '가문'을 이룰 정도로 경지가 놓아졌다는 의미이다.
노동자의 '자'는 가문을 이루지 못하고 개인의 법벌이 정도라는 의미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노동자를 부르는 호칭 뒤에는 '씨'자를 붙인다.
그리고 제법 성공한 기술자에게는 '사'자를 붙인다.
아들아 돈 공부해야 한다
눈처럼 돈도 두가지 종류가 있다고 한다.
싸락눈과 같은 돈은 생기자마자 바로 녹아버리는데 흔히 그 돈을 비용이라고 한다.
또 함박눈 같은 돈은 내리면서 주머니에 차곡차곡 쌓이는 돈이다. 그것을 저축이라고 한다고 한다.
돈의 세 가지 통로로 (많은 책에서도 언급이 되지만)
'근로소득', '사업소득', '자본소득'으로 이야기 하며
나훈아와 남진을 비교하여,
나훈아는 싱어송라이터로 작사 작곡한 곡에서 저작권료를 받아서 자본소득이 되며,
남진은 노래를 해야 소득이 발생하는 근로소득이라고 설명한다.
오늘이 연휴 마지막 날이다. 아마 근로자는 내일 일해야 한다는
스트레스 속에 있을 것이다. 그러나 사업가는 내일의 일이 즐거움일 것이고,자본가는 요일에 상관없이 매일이 휴일이다.
아들아, 돈 공부해야한다 p74
저축, 은행, 예금, 지출, 쇼핑법, 소비, 세금, .....
돈 버는 시스템을 만들라고 하면서, 서태지와 아이들을 비교해서 또 설명한다.
춤꾼인 이주노는 예술 노동자로 몸이 아프거나 그가 지닌 예술의 가치가 덜어지면 일순간에 나락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예술 자본가는 세태지로 음반 발매, CF촬영 등 노동으로 번 소득으로 집과 건물 등 자산을 구축했다.
예술 사업가는 양현석으로 사업과 자원을 시스템화해서 YG엔터테인먼트라는 회사를 만들게 되었다.
그렇다면 돈의 본질은 무엇일까?
돈의 세가지 기능은 사물의 가치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상품 교환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사유 재산 축적의 대상이라고 한다.
< 돈의 대변혁 >
1694년
|
잉글랜드 은행의 탄생
|
국가의 채무에 기반을 둔 국가 화폐를 처음 발행
|
1944년
|
브레틴우즈 체제
|
미국의 돈이 세계의 돈, 기축 통화가 되었다
|
1971년
|
닉슨의 달러 금 태환 중단
|
금과 관계없이 자기들 멋대로 세계의 돈을 발행하겠다는 선언
|
주식을 하기 위해서는 재무재표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고 한다. 사실 나는 재무재표가 뭔지도 몰랐다.
코스피? 코스닥? 상장? 헉.....
물론 누군가 소개해 줘서 아주 잠시 주식을 하기도 했다.
약간의 수익을 얻기도 하고, 실패를 하기도 했다. 하지만 나는 남의 얘길 듣고 주식을 했지,
투자할 회사의 재무재표를 찾아보지는 못했다. (역시 많이 부끄러운 부분이었다.)
돈을 벌고 싶고, 부자가 되고 싶고, 그래서 시간과 돈으로부터 자유로워지고 싶고.....
기타 여러 가지 소망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왜 내겐 돈이 없지? 왜 돈이 안모일까?
등 여러 생각을 하다가,
그래, 난 인연이 없는 사람이야. 아니 지금껏 이렇게 살아온 것 만도 감사하지
다른 사람들은 더 힘든 사람도 있어.
사람이 어떻게 위만 보고 살 수 있나? 등등의 여러 가지 말로 자위를 하고
포기를 하고 살아왔다.
그런데 정말 내가 원하는 것은 그런게 아니었다.
그래, 난 돈을 원하면서도 돈을 약간 터부시했고, 돈을 얘기하는 것은
세속적이라고 생각하고 살아왔구나 하는 생각
일단, 돈에 대해서 너무나 안일하게 생각해 왔었고,
게을렀고......
나처럼 돈에 대해 모르는 사람도, 돈 공부에 대해 생각하지 못하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그런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참 좋은 책이고
사랑하는 아들을 향한 아버지의 따뜻한 마음이 전해지는
울림이 있는 책이었다.
가난은 불편한 것이 아니라 부끄러운 것이다.
그 부끄러움 때문에 슬픈 것이다.
아들아, 돈 공부해야 한다 p303
'함께 알아봐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으르지만 콘텐츠로 돈은 잘 법니다 (부러우면 지는거다) (2) | 2022.10.25 |
---|---|
하프타임- 할 수 있다!! (0) | 2022.10.25 |
역행자 (순리자 no no!) (1) | 2022.10.25 |
돈의 속성(김승호)- 잘 알아보자~~ (0) | 2022.10.25 |
짜잔~티스토리 개설 (0) | 2022.10.23 |